슬래그(slag)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녹여 필요한 금속을 얻은 후 찌꺼기로 남는 산업 부산물
-
국내에서 연간 2,650만 톤,
전 세계 10억톤 발생콘크리트용 모래 대용이나 기타 자연 광물 대체재로 활용하고 있지만 발생량 대비 미미한 수준
-
유해물질 배출과 같은 환경 영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지역사회의 부정적 인식으로슬래그로 인한 환경 민원 지속

포스리젠은
슬래그의 불편한 사회인식 개선과 산업 부산물 재활용에 대한 고민에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페로니켈슬래그(FNS)를 활용한
친환경 고성능 시멘트 혼화재
페로니켈슬래그 생산과정

페로니켈슬래그(FNS)
국내 유일 생산 - (주)에스엔엔씨
국내 2백만톤/년 이상 발생
콘크리트용 모래 대용 등으로 활용하나 전량 소진 한계


페로니켈슬래그 소개
페로니켈슬래그는 페로니켈을 생산하기 위해 원료로 사용된 니켈광석, 유연탄 등이 고온에서 용융되어 페로니켈과 분리된 후 얻어진 유용한 자원입니다.
페로니켈슬래그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친환경적 자원으로 콘크리트 혼화재, 콘크리트용 골재, 지반개량용 지반고화재,
PHC파일 주면고정재, 수평배수층재 등의 천연자원 대체재로 활용되어 자원과 환경 보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FNS 주요성분 중 올리빈 성분으로 인한 탄산광물화 가능 물질로 확인되어 이산화탄소 고정화 소재로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입니다.
페로니켈슬래그 종류
성상 | 프라임 샌드(수재) | 프라임 스톤(괴재) | 프라임 파우더(PRIME POWDER) |
---|---|---|---|
사진 | ![]() |
![]() |
![]() |
공정 |
융융슬래그에 물을 분사하여 모래 형태로 생산한 제품 |
융융슬래그를 자연 공냉에 의해 서서히 냉각시켜 자갈형태로 생산한 재품 |
프라임샌드를 분말도 3,800cm²/g 이상 밀분쇄 과정을 거쳐 고운 파우더 형태로 가공 생산한 제품 |
활용도 |
콘크리트용 잔골재, 사문암 대체재, 성토재, 수평배수층재, 주물사, 연마재, 케이슨 채움재 |
토목용 골재로 사용시 다짐률이 우수하여 성토재, 노반재, 아스팔트용 골재, 사문암대체재 |
수화열 저감, 내염해, 장기강도가 우수해 콘크리트 혼화재, 지반개량용 지반고화재, 파일주면고정액 등에 사용 |
※ 발생 슬래그는 냉각방식에 따라 괴재와 수재 형태를 보이며 95%가 수재 형태로 생산